백준 1260: DFS와 BFS

- 입력
    - 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N(1 ≤ N ≤ 1,000), 간선의 개수 M(1 ≤ M ≤ 10,000), 탐색을 시작할 정점의 번호 V가 주어진다. 다음 M개의 줄에는 간선이 연결하는 두 정점의 번호가 주어진다. 어떤 두 정점 사이에 여러 개의 간선이 있을 수 있다. 입력으로 주어지는 간선은 양방향이다.

- 출력
    - 첫째 줄에 DFS를 수행한 결과를, 그 다음 줄에는 BFS를 수행한 결과를 출력한다. V부터 방문된 점을 순서대로 출력하면 된다.


예제 입력 1
4 5 1
1 2
1 3
1 4
2 4
3 4

예제 출력 1
1 2 4 3
1 2 3 4
예제 입력 2
5 5 3
5 4
5 2
1 2
3 4
3 1

예제 출력 2
3 1 2 5 4
3 1 4 2 5
예제 입력 3
1000 1 1000
999 1000

예제 출력 3
1000 999
1000 999


오랜만에 보니까 하나도 모르겠는 DFS그리고 BFS,,,,ㅎ


n, m, v = map(int, input().split())

일단은 이렇게 n, m, v 값을 저장하고

graph = [[0]*(n+1) for _ in range(n+1)]
visited = [0] * (n+1)

for i in range(m):
    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
    graph[a][b] = 1
    graph[b][a] = 1

graphvisited를 만들어 방문 정보를 저장해준다.


dfs(v)
print()
bfs(v)

먼저 dfs를 진행하고 이후 bfs를 진행해야 한다.


def dfs(v):
    visited[v] = 1 # 원래 모두 0, 방문한 지점은 1
    print(v, end = ' ')
    for i in range(1, n+1):
        if visited[i] == 0 and graph[v][i] == 1: dfs(i)

따라서, 0으로 채워진 visited를 방문할때마다 1로 바꿔줘야 한다.

바꿔줄 애들은 graph에서 v와 연결된 애들을 for문으로 탐색하며 찾아야 한다.


def bfs(v):
    queue = [v]
    visited[v] = 0 # 원래 모두 1, 방문한 지점은 0
    while queue:
        v = queue.pop(0)
        print(v, end = ' ')
        for i in range(1, n+1):
            if visited[i] == 1 and graph[v][i] == 1:
                queue.append(i)
                visited[i] = 0

이번에는 아까 dfs의 결과 1으로 채워진 visited를 방문할때마다 1로 바꿔줘야 한다.

이때 바꿔줄 애들은 queue를 이용해서 찾는다.

python의 list, 특히 pop(0)을 이용해 queue를 굳이 구현하지 않고 이용할 수 있다.